책소개
사계절문학상 수상 작가이자, 『사랑에 빠질 때 나누는 말들』 『러닝 하이』 『봄날의 썸썸썸』 등으로 솔직하고 곧게 사랑하는 아이들을 다정하게 도닥여 온 탁경은 작가의 신작. 어느 사월, 양양에 반짝이는 유성우가 내린다. 봄, 고은, 지후, 유림 등 아홉 명의 아이들은 소원을 이루어 준다는 신비로운 운석을 보기 위해 양양으로 향한다. 각자가 좋아하는 것을 마음속에 품고서, 좋아하는 것 때문에 속을 앓기도 하고, 제 좋아하는 마음이 작은 기적을 일으키기를 바라기도 하면서.
『어마어마하게 멀리서 온 마음』은 아이들 각자가 좋아하는 것을 찾아 가는 이야기이기도, 무언가를 좋아하는 ‘태도’를 다룬 이야기이기도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좋아하는 마음이 때로 상처를 준다는 사실, 하지만 상처받으면서 한 걸음 더 내딛게 된다는 사실을 깨닫는 이야기이기도 하다.
목차
프롤로그
지구가 곧 멸망한다면
모든 계절을 다 좋아해
갭이어 버킷리스트
만우절이니까
사랑에 빠졌나 봐
고유하고 특유하고 독특한
함부로 마음을 열지 마
네 이름이 참 좋아
신묘한 운석
각자의 분노 버튼
터미널 집결
얼마나 단단할까
로미오와 줄리엣보다 슬픈 이야기
궤도가 다른 두 소행성
롤 모델을 정해야 한다면
학폭 기사의 파문
꼬여 버린 자매의 역사
이야기의 주인공은?
전문 실패꾼들
진짜 사랑의 힘
최악의 짝사랑
순수함 테스트
뭐가 더 오래 살아남을까
기적 같은 일
어마어마하게 긴 기다림
오래간다고 아름다운 건 아니야
빠짐없이 모두, 사랑의 여정
스스로 빛이 나는 사람
에필로그
작가의 말
저자
탁경은 (지은이)
출판사리뷰
좋아하는 것을 잘하고 싶어!
일어날지도 몰라, 좋아하는 기적이
“이야기 끝에 다다르면 알게 된다. 우주를 이해하는 데 사랑이 필요하듯이, 사랑을 이해하는 데 우주가 필요하다는 것을. ‘어마어마하게 멀리서 온 마음’이 우리 안에도 이미 있다는 것을.”
_박영란(작가)
사계절 문학상 수상 작가이자, 『사랑에 빠질 때 나누는 말들』 『러닝 하이』 『봄날의 썸썸썸』 등으로 솔직하고 곧게 사랑하는 아이들을 다정하게 도닥여 온 탁경은 작가의 신작이다.
‘사랑’ 하면 익숙하게 떠오르는 이미지는 연애지만, 우리는 알고 있다. 사랑의 대상도, 형태도 다양하다는 것을. 탁경은 작가가 이전 작품들에서 비단 두근거리는 마음으로 첫사랑을 겪는 이들만이 아니라 다양한 관계에서 사랑을 발견하고 또 사랑을 하기 위해 용기를 내는 십 대를 묘사해 왔듯이 말이다. 그것은 『어마어마하게 멀리서 온 마음』에서도 다르지 않다. 나아가 여기 등장하는 아이들은 사랑을 하기 위해서만이 아니라 사랑에 필연적으로 뒤따르는 상처를 받아들이기 위해서도 용기를 낸다.
좋아한다는―
유성우처럼 찬란하게 반짝이는 마음
사월 어느 날, 양양에 유성우가 쏟아진다. 강렬한 빛이 사라진 자리에 적지 않은 운석들이 남는다. 시커먼 석탄 같기도, 반짝반짝 윤이 나는 보석 같기도 한 운석을 놓고 여러 말이 떠돈다. 운석을 보면 사랑이 이루어진다는 말, 엄청나게 뜨겁고 무거워서 어떤 것으로도 들어 올릴 수 없다는 말, 운석을 만질 수 있는 사람이 있다면 그건 무언가/누군가를 진짜 사랑하기 때문이라는 말이. 이에 아이들은 양양으로 향한다.
무언가를 ‘진짜’ 좋아한다는 게 뭘까? 운동을 좋아하든, 책 읽기를 좋아하든, 아니면 옆 반 애를 좋아하든, 청소년기에 우리는 좋아하는 것을 어서 찾아야 한다는 압박을 받는다. 좋아하는 것을 찾는다는 건 곧 미래에 내가 어떻게 살아갈 것인지를 결정하는 일이니까. 하지만 좋아하는 것을 찾는 일은 쉽지 않다. 좋아하는 것을 하고 싶다면 공부부터 해야 하는 세상에서, 누구도 좋아하는 것을 어떻게 찾는지 또 어떻게 좋아해야 하는지도 알려 주지 않으니까. 『어마어마하게 멀리서 온 마음』은 봄, 고은, 지후, 유림, 하은, 한솔, 서연, 태윤, 준기 등 아홉 명의 등장인물이 각자 좋아하는 것을 찾아 가는 이야기이자, 좋아하는 것을 대하는 태도에 관한 이야기다.
물론 아이들은 제각기 좋아하는 것도, 좋아하는 것을 어떻게 대하는지도 다르다. 이를테면 고은은 지후에게 첫눈에 반하지만, 좋아하는 마음은 때로 고집스럽고 이기적인 요구로 나타난다. 반면 우주를, 별을, 과학을 사랑하는 유림은, 어떻게든 운석을 만져 보고자 온갖 장갑을 겹겹이 낀 사람들 사이에서 아주 얇은 라텍스 장갑 한 장만을 낀다. 소중한 것을 대하듯 맨손으로 들어 보고 싶지만 그랬다가는 운석이 훼손되기라도 할까 봐 불안해서. 지후는 책을 너무나 사랑한 나머지 책을 쓰는 사람(작가)이 되고 싶어 하지만, 책 속 인물들을 친구로 여기지 실제 사람들과는 거의 말을 주고받지 않는다. 한편 태윤은 빵만 보면 정신을 못 차리지만, 빵을 먹기만 하면 화장실을 들락거려야 한다. 빵이 태윤을 거부하기 때문에!
우리가 좋아하는 것이 우리를 상처 입힐지라도
이들이 무언가 혹은 누군가를 좋아하는 마음은 서로 다른 형태를 띠고 있지만, 좋아함으로써 겪는 일련의 변화는 크게 다르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태윤은 빵을 먹는다. 빵을 먹으면 가려울 때가 있고, 졸음이 올 때가 있고, 설사를 할 때도 있지만, 또 이 모든 것을 알지만, 좋아하기에 먹는다. 우리가 상처받을 걸 알면서도 새로운 관계를 시작하듯이. 사람과 부대끼며 겪는 모든 일을 성가시게만 여겼던 지후는 점차 책이 아닌 통로를 통해서도 세상을 받아들이려 하고, 그것은 핸드폰에 빠져 사는 하은 역시 마찬가지다. 한편 자신에게 지후를 정말로 좋아한다고 믿었던 고은은 운석을 들기는커녕 너무 뜨거워서 잠깐도 만지지 못하자 엉엉 울음을 터뜨린다.
말하자면 운석을 구심점으로 모인 아이들은 무언가/누군가를 좋아하는 마음을 저도 모르게 시험대 위에 올려놓는 것이다. 얼마나 가볍든, 얼마나 무겁든, 좋아하는 마음은 때로(어쩌면 자주) 우리에게 상처를 입힌다. 우리가 그것을 좋아하기 때문에. 이 소설에서 유일하게 일방적으로 좋아하는 관계가 아닌 쌍방적 관계를 맺은 봄이는 자신이 좋아하는 사람에 대해 거의 아무것도 알지 못했다는 사실을 깨닫는다. 그리고 그런 아픈 깨달음까지도 좋아하는 마음의 일부로 받아들인다.
앞서 이 소설이 좋아하는 것을 찾아 가는 이야기이자, 좋아하는 것을 대하는 ‘태도’에 관한 이야기라고 썼지만, 여기서 한 가지 더 추가되어야 한다. 『어마어마하게 멀리서 온 마음』은 좋은 것과 좋아하는 것이 서로 다르다는 사실을 깨닫는 이야기이기도 하고, 좋아하는 마음이 우리에게 상처를 주더라도 그런 상처로 인해 한 걸음 더 내딛게 되는 이야기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