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대한민국의 아우슈비츠, 형제복지원을 기록하다
나치의 아우슈비츠 만행에 비견할 사건은 대한민국에도 있다. 국가와 정권의 비호 아래 ‘모범 사회복지구호시설’이라는 이름으로 1975년부터 1987년까지 12년 동안 5만 명 넘는 사람이 감금당했고 그중 무려 657명이 사망한 대형 사건이다. 수용된 사람들은 일상적인 인권 유린과 폭력에 시달렸고 그중 최소 657명이 사망한 대한민국의 아우슈비츠, 바로 형제복지원 사건이다. 가난과 빈곤을 ‘일소’하겠다며 ‘포효’하던 군사 독재 정권은 빈곤 그 자체를 소멸시키지는 않았다. 그들의 포효는 그러한 처지에 놓인 사람들을 ‘복지’의 이름으로 자신들의 눈앞에서 치워버리겠다는 뜻이었다. 그 정점에 바로 형제복지원이 있었다. 가장 가난한 이들은 국민으로 인정받지 못한 채 갇혔다. 그리고 30여 년 뒤, 마침내 그들이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다. 때로는 주목받았지만 보통은 그렇지 못했다. 하지만 진실을 알리고 마침내 동등한 인간으로 인정받는 “사람이 되는 시간”을 위한 지난한 싸움은 여전히 분명하게 계속되고 있다.
이 책은 10여 년간 형제복지원의 진상을, 그리고 피해자와 생존자의 투쟁을 기록해온 저널리스트 박유리 작가가 그동안의 기록을 정리하여 펴낸 것이다. 인터뷰, 르포르타주, 소설, 소논문 등 다양한 형식을 배합하여 형제복지원 사건에 얽힌 이야기에 입체적으로 접근했다. 피해자, 수용소 설계자, 이러한 상황을 야기한 체제, 생존자의 투쟁, 정치권 반응과 형제복지원의 ‘형제들’(유사 사건)을 충분히 살핌으로써 사건에 대한 표피적인 정보 아래의 사람과 사회를 구체적으로 드러냈다. 인간성을 말살했던 국가의 범죄와 정권의 폭력 그리고 비정한 사회 현실을 돌아보고, 이것이 단순한 사건이 아니라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래 꾸준히 이어진 ‘빈곤 청소’와 고립의 현대사에서 기인한 것임을, ‘국민을 지배하는 권력’이라는 모순이 낳은 필연적인 사건임을 정리하였다.
몇몇 시사 고발 프로그램을 통해 이 사건이 알려지기도 했다. 최근에는 국가 배상 판결이 세 차례 나오기도 했다. 하지만 여전히 갈 길이 멀다. 특히 정부는 법적 책임을 거부하며 끊임없이 항소를 진행하고 있다. 나아가 진상 규명을 위한 피해자의 외침을 듣고도 방관적인 태도로 일관하면서, 피해자의 권리 구조와 명예 회복은 여전히 이루어지지 못했다. 저자는 말한다. “진실은 성실하게, 지루하게 흘러간다”라고. “가만히 귀를 기울이면, 진실이 제 갈 길을 가는 침묵의 소리”를 들을 수 있다고, 그것은 ‘지금, 여기’에서부터라고 말이다.
목차
들어가는 말
1장 목소리
2장 수용소 설계자
3장 생존자
4장 진실 찾기
5장 지옥에서의 연대
6장 빈곤 청소
7장 형제들
작가의 말
주
저자
박유리 (지은이)
출판사리뷰
‘빈곤 청소’라는 국가범죄, 그리고 진실을 향한 여정
국가범죄는 빈곤 ‘청소’를 이유로 자행되었다. 빈곤을 감금하고 눈앞에서 치워버리는 감금과 수용을 통해, 한국 사회는 해결해야 할 모순을 끌어안기는커녕 보이지 않는 척 외면했다. 그렇게 ‘고립된 빈곤’의 역사가 지속됐다. 저자는 주제를 전달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형식을 각 장마다 채택하였다.
1장은 생존자들의 뜨겁고 참혹한 체험을 전달하기 위해 구술록 형식을 취했다. 형제복지원이라는 악독한 세계를 구축한 ‘설계자들’을 고발하는 2장과 진실을 알리기 위한 이들의 투쟁 과정을 기록한 4장, 그리고 형제복지원의 또 다른 감금 시설들을 다룬 7장에서는 르포르타주 형식을 도입했다. 형제복지원의 잔혹한 현실을 피해자들의 증언에 기반을 두고 정리한 3장은 픽션 형식을 취해 당시의 상황에 몰입할 수 있게 했다. ‘살아남은’ 이들의 투쟁 경험과 소감을 정리한 5장은 인터뷰 형식을 도입해 피해자들의 입을 통해 사건 현장을 생생하게 보여준다. 6장은 소논문 형식을 통해 빈곤을 ‘청소’해온 국가범죄의 현대사를 차분하게 ‘기록’했다.
다양한 형식을 통해 국가가 국민에게 가한 ‘테러’와 폭력을 기록하는 동안, 저자는 그에 맞선 보통 사람들과 피해자들의 끈질긴 싸움 역시 역사 속에서 제자리를 찾기를 갈망한다. 국가는 빈곤을 고립시켰지만, 빈곤은 닫힌 그 문을 스스로 열어젖히고 세상을 향해 진실의 손을 끊임없이 내밀고 있기 때문이다.
너무 늦었고 아직 이른, 두 시간 사이에서
“처음 글을 쓰기 시작한 때로부터 10년이 흘렀다. 너무 늦었고, 아직 이르다. 형제복지원이 집중 조명되던 때로부터 늦어버렸고, 형제복지원 사건이 온전히 진상 규명돼 부랑인을 대규모로 감금하던 현대사가 역사의 한 페이지로 기록되고 성찰될 어느 시점에는 아직 닿지 못했다. 두 개의 시간 사이에서, 《고립된 빈곤: 형제복지원, 10년의 기록》을 2024년 출간한다. 오지 않은 미래와 지나간 과거 사이의 어느 때일 것이다.”
두 시간의 대결에서 무엇이 승리할 것인가. 지금도 피해 생존자들은 진상 규명과 국가의 책임이라는 국민으로서 보장받아야 할 너무나 당연한 권리를 위해 혼신을 다하고 있다. 지금 여기에서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할 것인가. 저자는 말한다. “진실은 성실하게, 지루하게 흘러간다. 식어버린 사람들의 관심과 생존자들의 여전한 갈증 사이에서, 진실은 그렇게 걸어간다. 들리지 않는가. 가만히 귀를 기울이면, 진실이 제 갈 길을 가는 침묵의 소리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