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지형에 순응하며 왕조사를 함축한 궁궐들
그 아름다움을 더욱 빛내주는 고궁 가이드
책을 덮는 순간 풍경과 서사가 잔잔한 울림을 준다
메트로폴리스 서울의 여백으로 남은 조선의 5대 궁궐. 우리는 왜 이 궁궐들에 매료될까? 무엇이 우리를 궁궐로 이끄는가? 이 책은 그에 대한 친절한 설명을 담고 있다. 『궁궐과 풍경』은 역사전문 가이드인 안희선이 6년간 주목해 온 궁궐의 아름다운 순간들을 담고 있다. 저자의 시선에는 궁궐이 품어낸 자연과 그곳에 있었던 서사와 인물이 포착된다. 사계절 매일같이 궁을 드나들며 카메라로 담아낸 장면들은 풍경의 이면에서 어우러지며 부대꼈던 슬픔과 기기쁨이 교차된다. 우리가 왜 궁궐에 매료되며, 빌딩 숲에서도 온기를 품고 여유를 주는 여전히 살아 숨 쉬고 있는 조선왕조가 남긴 아름다움이 무엇인지 보여 준다.
즉흥적이고 빠른 커뮤니케이션에 익숙한 오늘날 현대 도시인들에게 저자는 우선 사진 한 컷 한 컷으로 메시지를 전한다. 유려하고 경륜 있는 가이드이기도 한 저자는 풍경 하나하나에 가치를 부여한다. 저자가 시선을 옮길 때마다 궁궐은 수백 년간 자신이 숨겨온 속살을 드러낸다. 인왕산과 북악산의 호위를 받는 근정전의 자태는 행각에서 바라볼 때만 오롯이 느낄 수 있다. 동쪽을 바라보고 설계된 창경궁에서는 어떠한가. 정전인 명정전에 올라서 정면을 응시하면 동쪽으로 펼쳐진 옛 도시, 한양이 펼쳐진다.
각 궐의 전각과 문양에 대한 설명은 적절한 교양 선에서 지나치게 깊기도, 그렇다고 결코 가볍지도 않다. 친절하고 유익하고 흥미롭다. 전통 건축이 지닌 고루한 형태론적 이야기로 빠지지 않고 마냥 실록 속의 시시콜콜한 이야기로 새지도 않는다. 관람객들은 대개 정문에서 시작하여 정전에서 일정을 마친다. 그 뒤편에 자리한 왕실의 생활공간과 뒷이야기는 관심 밖이다. 저자는 흥미로운 접근방식으로 읽는 이를 시간여행으로 이끈다. 왕실과 신하, 외국 사절은 물론 수많은 낭인과 궁녀가 거닐었을 각 궁궐의 금천교가 바로 모든 궁 이야기의 시작점이라고 한다. 더불어 주요 전각과 후원의 가치를 되새기고, 공간 감상 포인트를 되짚는다. 우리 기억에서 잊힌 궁, 근대사가 할퀴고 간 경희궁은 새삼 진한 여운을 남긴다.
임금은 과연 모든 것을 누리기만 했을까? 정조대왕이 어머니 혜경궁 홍씨를 위해 만든 창덕궁 자경전, 청기와가 올려진 선정전, 헌종의 꿈이 담긴 낙선재 등 역사책 속 글자로만 기억되는 이름이, 사진 속 저자의 시선이 살갑고 따듯한 설명과 함께 머릿속에 그려진다. 조선 역사상 가장 오래 정궁으로 쓰인 창덕궁에 남은 문양과 근대적인 인테리어 요소들, 구한 말에 본격적으로 조성된 덕수궁 곳곳에서 볼 수 있는 오얏꽃 문양, 법궁인 경복궁 곳곳에 있는 전설의 동물 천록까지. 저자는 궐 속에 숨어 있는 왕조사와 조선만이 지닌 그윽한 전퉁문화와 우리의 전통 문화와, 근대적 개혁을 꿈꿨던 대한제국의 고민과 의지, 스러져간 왕조의 서글픈 흔적을 짚어낸다.
결국 이 책에는 단편적이고 편리적인 역사적 사실이 아닌 풍경과 어우러진 건축 이야기와, 한때는 찬란했던 조선 르네상스 문화와 쇠잔한 슬픈 역사도 담겨 있다. 선조들의 이야기가 담겨 있다. 궐을 산책하듯 유유히 걸으며, 우리 궁의 숨은 이야기와 아름다운 풍광을 오롯이 느끼고 싶다면 바로 이 책을 들고 나설 일이다.
목차
들어가며 자연스러운 아름다움 10
경복궁 존재 그 이상의 존재감 12
창덕궁 자연의 흥취를 한껏 살리다 66
창경궁 효심이 빚은 궁궐 110
경희궁 치유를 기다리는 상처 142
덕수궁 도심의 여백 164
Thanks to 마음 한편 202
저자
안희선 (지은이)
출판사리뷰
오늘을 열심히 살아갈 힘과
찬란한 내일을 위한 지혜와 교훈이 담긴 곳
도시계획에 의해 인위적으로 조성된 조경 공간을 익숙히 여기는 현대인에게 한 폭의 병풍처럼 궁궐 주위에 펼쳐진 자연은 쉼의 순간, 사유의 기회를 선물합니다. 가볍게는 일상의 고민을 혼자 풀어보는 것부터 자연을 대하는 옛사람들의 지혜까지, 궁궐을 바라만 보고 있어도 다양한 생각이 머릿속에 맴돕니다. 이 모든 것이 가능한 까닭은 ‘자연스러움’ 덕분입니다.
‘자연스럽다’는 ‘억지로 꾸미지 아니하여 이상함이 없다’를 의미합니다. 정원은 인간이 만든 기술 혹은 예술작품이 아니라 ‘자연의 일부’라는 선조들의 접근방식이 궐을 둘러싼 자연 모두를 궁궐 안으로 끌어들였습니다. 그러니 목조 건축물과 주변 풍광의 조화가 아름답기 그지 업었던 것이지요.
궁궐의 주인이었던 조선 왕실과 그들을 보필하던 궁인, 그곳을 매일 드나들었던 신하들은 이곳에 더는 있지 않습니다. 건축물 또한 힘겨운 시간을 걸어온 탓에 온전치 못한 것도 많습니다.
그렇다면 현재를 사는 우리에게 궁궐은 어떤 의미일까요?
궁궐에는 5백 년이 넘는 조선의 역사가 서려 있습니다. 치열한 삶을 살아간 이들의 기쁨, 슬픔, 고뇌가 곳곳에 묻어납니다. 그들이 만든 삶의 궤적은 우리에게 오늘을 열심히 살아갈 힘과 찬란한 내일을 만들어 가기 위해 필요한 지혜와 교훈이 되리라고 생각합니다. -‘들어가며 : 자연스러운 아름다움’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