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명필름 심재명 대표는 서울 전농동에서 2남 2녀의 둘째로 태어났습니다. 어린 시절 아버지의 사업이 기울면서 여섯 식구는 서울의 변두리를 전전합니다. 매사에 열등감을 느끼던 그는 중학교 2학년 때 텔레비전 ‘주말의 명화’에서 [몽파르나스의 등불]이란 영화를 보고 영화에 빠져듭니다.
1982년 동덕여자대학교 국어국문과에 입학하지만 영화에 대한 꿈은 여전합니다. 매주 화요일에 프랑스문화원에서 영화를 보고 영화 잡지의 대학생 기자로 활동합니다. 대학을 졸업하고 카피라이터가 되고 싶었지만 지원하는 곳마다 모두 낙방합니다. 작은 출판사에 들어갔다 넉 달 뒤 신문에서 서울극장 기획실 카피라이터 모집 공고를 발견합니다. 영화도 하고 카피도 쓰는 직업이라 마음이 설렙니다. 며칠을 고민하다 지원서를 냅니다. 그리고 합격합니다. 1987년 8월 심재명은 영화계에 첫발을 내딛습니다.
1989년 영화 제작사인 극동스크린으로 직장을 옮긴 뒤 1992년 한국 최초의 영화 마케팅 회사인 명기획을 세웁니다. [그대 안의 블루](1992), [그 여자 그 남자](1993), [세상 밖으로](1994) 등을 기획하고 홍보합니다. 1995년 남편과 여동생과 함께 영화사 명필름을 세웁니다. [접속](1997), [조용한 가족)(1998), [해피엔드](1999), [공동경비구역 JSA](2000)를 연달아 흥행시킵니다. [섬](2000), [와이키키 브라더스](2001) 등을 제작해 작품성과 상업성을 두루 갖춘 영화사라는 평을 얻습니다.
2004년 강제규필름과 합병해 MK픽처스를 설립하고 제작에 이어 투자, 배급, 극장 사업까지 진출합니다. 한 해에 영화 네 편을 제작하며 분주히 움직이지만 관객의 외면을 받습니다. 그가 제작을 맡은 [구미호 가족](2006)의 수익률은 ?90%를 기록합니다. 영화계를 떠날 생각까지 하지만 마음을 추스르고 2007년 MK픽처스에서 명필름을 분리합니다. 명필름으로 돌아온 그는 [우리 생애 최고의 순간](2008)으로 재기에 성공합니다. 이후 [시라노; 연애조작단](2010), [마당을 나온 암탉](2011), [건축학개론](2012)을 흥행시킵니다.
바이오그래피 매거진(BIOGRAPHY MAGAZINE) 3호에서는 명필름 대표 심재명을 만났습니다. 심 대표는 성공의 원동력으로 결핍과 열등감을 꼽았습니다. 남부럽지 않은 삶을 사는 지금도 결핍은 여전히 남아 있습니다. 어머니의 부재와 시대적 상황과 사회 현실과 부조리에 그는 아직 결핍을 느낍니다. 그리고 모자란 만큼 그는 다시 채웁니다.
이번 호에서는 모든 게 부족해 채울 수 있었던, 열등감과 결핍이 이끄는 꿈의 실현을 관찰합니다.
바이오그래피 매거진은 한 호에 한 인물을 소개하는 격월간지입니다. 광고가 없고 양장본으로만 발행합니다. 바이오그래피 매거진은 전권에 걸쳐 명사의 삶과 철학을 입체적으로 조명합니다. 흥미로운 인물 이야기와 감성적인 그래픽이 어우러져 쉽게 읽을 수 있습니다. 타인의 삶에 우리를 비추어 봅니다. 사람을 배우고 세상을 배웁니다.
목차
CINEMA PARADISE
심재명의 꿈이 시작된 서울극장을 찾았다. 극장 안팎의 풍경을 담았다.
PREFACE
우리 삶은 회화보다 영화에 가깝다.
WORKS
영화 제작자 심재명의 주요 업적을 알아본다.
TALKS AND TALES
극장가와 영화계에서 사람들을 만났다. 심재명에 대한 다양한 생각을 들었다.
PORTRAITS
심재명의 활동상을 화보에 담았다.
BIOGRAPHY (BIOGRAPHY / PERSONAL HISTORY)
심재명의 일생을 다룬 가상의 전기 영화를 소개한다. 연보와 필모그래피를 실었다.
COMPARISON
한국에 명필름이 있다면 영국엔 워킹타이틀이 있다.
BEHIND THE FILM
[건축학개론]을 통해 영화 제작과정의 전반을 이해한다.
IN-DEPTH STORY (INTERVIEW / PARTNER / COMPANY)
심재명과 그의 남편 이은을 만났다. 명필름의 성공 요인을 살펴본다.
SAYING
충무로 최고의 제작자, 심재명의 명언을 모았다.
저자
스리체어스 편집부 (엮은이)
출판사리뷰
회화와 영화는 사각의 프레임에 내재한다는 점에서 동일하지만 프레임의 작동 방식은 상이합니다. 프랑스 영화 비평가 앙드레 바쟁(1918~1958)에 따르면 회화의 프레임은 내부로, 영화의 프레임은 외부로 향합니다. 다시 말하면 회화의 프레임은 현전하는 세계와 회화의 세계를 구분하지만, 영화의 프레임은 현전하는 세계의 일부(내화면, On-screen)로 여겨집니다. 영화를 볼 때 관객은 프레임의 존재를 망각하고 프레임 바깥에 비가시적 영역(외화면, Off-screen)이 있음을 의심하지 않습니다. 감독이 제시하는 내화면과 관객이 상상으로 채우는 외화면의 상호 작용으로 영상의 서사와 의미가 탄생합니다. 1895년 뤼미에르 형제가 세계 최초의 영화 [기차의 도착]을 만들었을 때 관객들은 멀리서 다가오던 기차가 프레임 밖으로 빠져나가자 소리를 지르며 달아났습니다. 외화면의 공간을 실재로 착각했기 때문입니다. 때론 보이는 것보다 보이지 않는 것이 더욱 사실적입니다.
바이오그래피 매거진 3호에서는 영화 제작사 명필름의 심재명 대표를 만났습니다. 그를 처음 안 건 90년대 중반이었습니다. 신문과 잡지에서 그가 탁월한 여성 기획자, 성공한 여성 제작자로 이름을 알릴 무렵이었습니다. 중성적인 쇼트커트, 날렵한 눈매, 굳게 다문 입. 알 수 없는 표정이었고 한 번도 져 본 적 없는 얼굴이었습니다. 그로부터 20여 년이 지났습니다. 저는 그를 세 번 만났습니다. 만날 때마다 원고의 방향을 새로 잡아야 했습니다. 그는 한 번도 져 본 적 없는 사람이 아니라 가끔 이기는 사람이었습니다.
심재명은 1963년 서울에서 사 남매의 둘째로 태어났습니다. 아버지의 사업이 기울면서 여섯 식구는 서울의 변두리를 전전했습니다. 궁색한 살림을 보이고 싶지 않아 친구들을 집에 데려오지 않던 사춘기 소녀는 스스로에게 물었습니다. 우리 집은 왜 가난할까, 나는 왜 키가 작을까, 나는 왜 예쁘지 않을까, 나는 왜 공부를 잘하지 않을까. 그 시절 그는 열등감 덩어리였습니다. 그리고 열등감의 크기만큼 꿈을 꾸었습니다.
취재를 마치고 종로구 사간동의 어스름을 걸었습니다. 프랑스문화원이 있던 지금의 폴란드대사관에서 안국동사거리까지 몇 번을 오갔습니다. 화랑 외벽에 매달린 빛 조각이 떨어지자 초저녁 정적이 찾아왔습니다. 발끝을 내려다보며 걷는 중년 남자와 소리 없이 웃는 젊은 연인이 보였습니다. 에드워드 호퍼의 그림처럼 인적이 드문 거리. 1984년 어느 저녁도 이랬을까요. 프랑스문화원에서 영화를 보고 나와 영화 속 허상과 영화 밖 현실을 비교하며 한없이 우울했을 스물 두엇의 심재명을 생각했습니다.
심 대표는 성공의 원동력으로 결핍과 열등감을 꼽았습니다. 그에겐 모든 게 부족했습니다. 그래서 채울 수 있었습니다. 남부럽지 않은 삶을 사는 지금도 결핍은 여전히 남아 있습니다. 어머니의 부재와 시대적 상황과 사회 현실과 부조리에 그는 아직 결핍을 느낍니다. 그리고 모자란 만큼 그는 다시 채웁니다.
내화면의 공간 바깥에는 언제나 외화면이 있습니다. 우리의 능력이 태부족하여 외화면의 영역을 직접 비추지는 못하더라도 그곳에 사람과 풍경이 있음을 함께 긍정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외화면의 존재를 긍정하는 것만으로 타인에 대한 이해에 새로운 장이 열리리라 믿습니다. 내화면과 외화면은 상호 작용하며 프레임을 해체하고 영화의 서사를 완성합니다.
우리 삶은 회화보다 영화에 가깝습니다.
심재명
1963년 서울 전농동에서 2남 2녀의 둘째로 태어났다. 휘경여고, 동덕여대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했다. 서울극장 기획실 카피라이터로 영화계에 입문해 현재 영화 제작사 명필름 대표, 1세대 여성 프로듀서로 불린다. 어린 시절 텔레비전 ‘주말의 명화’를 보며 영화에 대한 꿈을 키웠다. 서울극장을 거쳐 극동스크린 기획실장, 프리랜서 영화 마케터로 활동하다 1992년 국내 최초의 영화 마케팅사 명기획을 세웠다. [그대 안의 블루], [아담이 눈뜰 때]등을 기획· 홍보했다. 1995년 남편 이은, 여동생 심보경과 함께 영화 제작사 명필름을 세웠다. 창립 작 품 [코르셋]을 시작으로 [접속], [조용한 가족], [해피엔드], [섬], [공동경비구역 JSA], [와이키키 브라더스], [바람난 가족], [광식이 동생 광태], [우리 생애 최고의 순간], [시라노; 연애조작단], [마당을 나온 암탉], [건축학개론], [카트], [화장] 등 지금까지 36편의 영화를 제작했다. 2012년 명필름문화재단을 설립했고, 2015년 명필름영화학교를 개교했다. 한편, 2015년 제 6회 올해의 영화상 영화인상을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