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책은 2003년 생각의나무 출판사에서 출간된 『평행과 역설』의 개정판입니다. **
이스라엘 출신의 세계적인 피아니스트이자 지휘자인 다니엘 바렌보임과 우리시대의 지성 에드워드 W. 사이드는 1990년대 초 런던의 한 호텔 로비에서 우연히 만나 아름다운 우정을 쌓아나간다. 나치를 피해 아르헨티나로 이주한 뒤 이스라엘에 정착한 바렌보임과 이스라엘의 건국으로 고향 땅을 떠나야 했던 팔레스타인인인 사이드는 완전히 상반된 인생 여정을 지니고 있다. 실제로 ‘태어난 고국의 역사에 대해 서로 동의하지 못한다’고 실토할 정도이지만, 두 사람의 대화는 팔레스타인 문제와 역사에 대해, 정체성과 민족주의, 바그너와 나치즘의 연루에 대해, 문학과 음악, 정치에 관한 빛나는 통찰을 풀어놓는다. 이 책은 1995년 10월 콜롬비아 대학교의 밀러극장에서 이루어진 대담과, 1998년과 2000년에 뉴욕에서 이루어진 총 6차례의 대담을 담고 있다.
문학과 음악이라는 다른 영역에서 같은 지점을 바라보면서도(평행) 팔레스타인 문제의 해결책과 오슬로협정에 관한 어긋난 견해(역설)를 통해, 독자들은 좁은 전문분야의 울타리를 자유자재로 넘나드는 두 거인과 함께하는 지적인 충만감을 느낄 수 있다. 다문화주의라는 허울 아래 빚어지는 배제와 억압, 그리고 정체성이란 고정된 것이라는 생각이 빚는 폭력이 여전히 만연한 오늘, 유일한 정체성이란 신화를 넘어 더 큰 ‘전체’를 향해 내딛는 그들의 발걸음은 우리 안의 평행과 역설을 돌아보는 주요한 계기가 될 것이다.
세계적인 피아니스트 겸 지휘자 다니엘 바렌보임과 석학 에드워드 사이드의 대담집 『평행과 역설』은 1995년 10월 콜롬비아 대학교의 밀러극장에서 이루어진 대담과, 1998년과 2000년에 뉴욕에서 이루어진 총 6차례의 대담을 담고 있다. 이 자리에서 두 사람은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을 대표하는 명사로서 국적과 상처를 넘어 음악과 삶, 역사에 관한 우정 어린 대화를 나눈다.
두 지성인의 특별한 만남
이스라엘의 소설가 아모스 오즈는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의 관계는 비극이되, ‘셰익스피어식 비극’이 아니라 ‘체호프식 비극’이어야 한다고 말했다. 셰익스피어 작품속의 주인공들은 모두 죽음으로 끝맺지만, 체호프의 주인공들은 비록 비참할지라도 삶의 끈을 놓지 않는다는 것이다. 세계사의 비극 속에 탄생한 팔레스타인과 이스라엘 사이의 문제에 비추어 볼 때 오즈의 ‘체호프식 비극론’은 중동현실에서 또 하나의 역설이 아닐 수 없다.
『평행과 역설』은 팔레스타인 출신의 석학 에드워드 W. 사이드와 유대인 출신의 마에스트로 다니엘 바렌보임, 두 세계적인 지성의 대담을 통해 ‘오즈의 역설’이 어떻게 작동되고, 또 어떻게 그럴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성찰과 모색을 음악처럼 풀어낸다. 서로 다른 문화적 배경 속에서 저마다의 삶을 꾸려나가는, 그래서 삶의 역설만을 지닌 것처럼 보이는 두 지성의 대담은 그 자체로 아주 특별한 만남이다.
이스라엘 출신의 세계적인 피아니스트이자 지휘자인 다니엘 바렌보임과 우리시대의 지성 에드워드 W. 사이드는 1990년대 초 런던의 한 호텔 로비에서 우연히 만나 아름다운 우정을 쌓아나간다. 나치를 피해 아르헨티나로 이주한 뒤 이스라엘에 정착한 바렌보임과 이스라엘의 건국으로 고향 땅을 떠나야 했던 팔레스타인인인 사이드는 완전히 상반된 인생 여정을 지니고 있다. 실제로 ‘태어난 고국의 역사에 대해 서로 동의하지 못한다’고 실토할 정도이지만, 두 사람의 대화는 팔레스타인 문제와 역사에 대해, 정체성과 민족주의, 바그너와 나치즘의 연루에 대해, 문학과 음악, 정치에 관한 빛나는 통찰을 풀어놓는다.
“우리는 모든 관심을 공유하는 친구였다. 이스라엘 사람이었던 다니엘과 팔레스타인 사람인 내가 오슬로 평화 협정의 진행 상황을 서로 다른 기대와, 적어도 처음에는 서로 다른 시각을 가지고 바라보고 있었다는 점은 우리의 우정에 아무런 문제가 되지 못했다. 이런 우리가 우리 삶의 역설은 물론 평행을 이루는 측면을 함께 살펴보는 것은 충분히 이유 있는 시도였다.”(사이드, 책 14쪽)
문학과 음악, 그리고 정치
한 분야에서 압도적인 성취를 쌓은 인물들도 자신의 분야 바깥의 일에는 말 그대로 문외한인 경우가 많다. 바렌보임과 사이드는 이런 좁은 전문가주의의 틀을 여지없이 깨뜨린다. 예컨대, 두 사람은 1960년대 이후 악보에 표기된 정보를 정확하게 재연하는 것을 최고의 미덕으로 삼는 “정격 연주”의 한계에 대해 이야기한다. 음표로 소리를 기록한 기보법(notaion)은 결코 엄밀한 텍스트가 아니라 근사치에 불과한 것이라고 이야기를 나누던 그들은, 이 기보법의 개념을 통해 첨예하게 이념이 대리하는 현실 정치 속으로 가지고 들어온다.
“제 견해로는, 오슬로 협정의 문제는 표기된 내용(notation)이 실제 상황과 적절하게 일치하지 은 데 있었습니다. 다시 말해서, 그것은 엄청나게 광대한 산맥을 바라보면서, 작은 종이에 산 하나만 덩그러니 그려놓고는 산맥 전체를 표현할 수 있다고 결정하는 것과 같았죠. 오슬로 협정은 현실과 텍스트 사이에 엄청난 괴리가 존재했습니다. 팔레스타인 사람들의 경우 보상받아야 할 좌절감과 실향, 유배, 박탈감이 남아 있습니다. 그러나 텍스트에는 “자, 그 일에 대해 더 이상 따지지 말기로 합시다. 눈에 보이는 문제에 대해서만 논하기로 하죠”라고 적혀 있습니다. 현실과 텍스트 사이의 이런 괴리가 결함으로 작용했습니다.”(사이드, 95쪽)
예술로 장벽을 넘다
지난 8월 15일, 다니엘 바렌보임은 에드워드 사이드와 함께 창단한 서동시집 오케스트라와 함께 임진각에서 평화의 콘서트를 개최했다(에드워드 사이드의 부인 마리엄 사이드 여사가 동행했다). 인종주의의 피해자가 또 다른 인종주의의 가해자가 되어버린 비극의 땅, 팔레스타인. 오슬로 평화 협정의 이행과정을 서로 다른 기대치를 가지고 상이하게 바라보며, 서로 다른 전망을 가진 두 사람 사이에 흐르는 평행과 역설을 통해 새로운 가능성을 열었다. 서동시집 오케스트라는 팔레스타인 문제 해결을 위한, 그리고 모든 민족의 평화와 화합을 염원하는 상징적인 결실이라고 할 수 있다.
문학과 음악이라는 다른 영역에서 같은 지점을 바라보면서도(평행) 팔레스타인 문제의 해결책과 오슬로협정에 관한 어긋난 견해(역설)를 통해, 독자들은 좁은 전문분야의 울타리를 자유자재로 넘나드는 두 거인과 함께하는 지적인 충만감을 느낄 수 있다. 다문화주의라는 허울 아래 빚어지는 배제와 억압, 그리고 정체성이란 고정된 것이라는 생각이 빚는 폭력이 여전히 만연한 오늘, 유일한 정체성이란 신화를 넘어 더 큰 ‘전체’를 향해 내딛는 그들의 발걸음은 우리 안의 평행과 역설을 돌아보는 주요한 계기가 될 것이다.
상품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
바로 확인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