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지속 가능한 지구촌의 미래 문명의 비전을 위한
철학적 기초를 제공하는 공간해석학
강학순(안양대학교) 교수의 『공간의 철학, 그 해석학적 해명』이 푸른사상사의 [학술총서 62]로 출간되었다. 기존의 공간에 대한 이해와 설명을 해석학을 통해 재해석함으로써, 존재론의 핵심주제인 공간에 대한 철학적 연구의 새로운 지평을 열고 있다. 공간 연구와 해석학 연구를 집대성하여 지속 가능한 지구의 미래 문명을 위한 철학적 기초를 제공한다.
목차
■ 책머리에
■ 서문
제1부 공간해석학의 기초
제1장 공간해석학 연구의 단초와 방법
1. 공간해석학 연구의 전제
2. 현대 과학이론과 해석학과의 친연성
3. 공간해석학 연구의 방법
제2장 공간해석학 연구의 배경
1. ‘시간’으로부터 ‘공간’에로의 전회
2. ‘새로운 공간’의 등장
3. 공간해석학 연구의 필요성
제3장 공간 해석을 위한 해석학의 기초 개념
1. 이해의 기본 조건으로서의 선입견
2. 해석의 전제로서의 이해의 ‘선구조’와 해석학적 ‘으로서-구조’
3. 해석학적 순환
4. 영향사적 의식과 이해의 역사성
5. 해석의 본질적 구조로서의 지평 융합
제2부 공간해석학의 기본 주제와 논리
제4장 공간해석학의 기본 주제들
1. 공간 표상과 비표상
2. 공간 경험과 공간 체험
3. 공간의 공간성
제5장 공간 해석을 위한 해석학의 논리
1. 설명과 이해의 변증법
2. 소격화와 전유의 변증법
3. 사건과 의미의 변증법
4. 과학과 이데올로기의 변증법
제6장 공간 해석의 통합성과 상보성
1. 설명과 해석
2. 구조와 해석
3. 분석과 해석
제3부 공간해석학의 주요 쟁점과 주제 확장
제7장 공간 해석의 갈등과 쟁점들
1. 빈 공간 긍정론 vs 빈 공간 부정론
2. 공간의 유한성 vs 공간의 무한성
3. 공간의 실재성 vs 공간의 관념성
4. 공간의 절대성 vs 공간의 상대성
5. 공간의 실체성 vs 공간의 관계성
제8장 공간 해석의 확장된 주제들
1. 텍스트로서의 공간 해석
2. 지평으로서의 공간 해석
3. 은유로서의 공간 해석
4. 상징으로서의 공간 해석
5. 사건으로서의 공간 해석
제4부 현대 공간 해석의 변곡점과 이론적 유형들
제9장 현대과학적 공간 해석 패러다임의 전환
1. 유클리드적 공간에서 비유클리드적 공간으로의 전환
2. 3차원 공간에서 4차원 공간으로의 전환
3. 절대적 공간에서 상대적 공간으로의 전환
4. 고전역학적 공간에서 양자역학적 공간으로의 전환
제10장 현대철학적 공간 해석의 전개
1. 현상학적 공간해석론
2. 실존론적·존재론적 공간해석론
3. 과정철학적 공간해석론
4. 후기구조주의적 공간해석론
5. 해체주의적 공간해석론
6. 위상학적·사건적 공간해석론
7. 사회공간론의 변증법적 공간 해석
제11장 사이버 시대의 공간 해석
1. 사이버·디지털 공간 해석
2. 정보화 시대의 네트워크 공간 해석
제5부 ‘공간과 장소’의 해석학
제12장 공간·장소·장소성
1. 공간과 장소의 구분
2. ‘공간 연구’에서 ‘장소 연구’로의 전회
3. 장소와 비장소 그리고 장소성
제13장 공간과 장소의 관계론
1. 공간 선재론
2. 장소 선재론
3. 공간과 장소 일치론
제14장 현대의 철학적 장소 해석의 유형들
1. 현상학적 장소 해석
2. 존재위상학적 장소 해석
3. 장소와 건축의 해석학
제6부 공간 해석의 지평 융합과 상보성
제15장 과학적 공간 해석과 철학적 공간 해석의 지평 융합
1. 공통적 기원과 미분화
2. 차이와 분화
3. 지평 융합과 상보성
제16장 철학적 공간 해석과 인문·사회과학의 공간 해석과의 지평 융합
1. 공간과 인간의 관계
2. 공간 해석의 공통 주제
3. 서양의 공간 해석과 동양의 공간 해석의 상보성
4. 공간 해석의 적용과 실천
맺음말 : 새로운 공간 사유를 위한 공간해석학의 의의와 과제
■ 참고문헌
■ 찾아보기
저자
강학순 (지은이)
출판사리뷰
“빛보다 먼저 공간이 생겨났다.” “점에서 시작된 우주 공간은 빛보다 더 빠르게 팽창한다.” “우리의 우주 외에 무한히 많은 평행우주(parallel universe)가 있다.” 이런 주장들은 현대과학적 공간론의 정론(定論)이다. 말하자면 우주 공간은 빅뱅으로부터 생겨나서 어떤 생명체보다 앞서 주어져 있고, 계속하여 평행우주 및 다중우주(multiverse)로 펼쳐진다. 우주의 ‘창백한 푸른 점(pale blue dot)’인 지구별 위에서 영위되는 신체를 구유(具有)한 인간의 삶이란 필연적으로 공간과 결합되어 있다. 그리하여 나의 정체성은 반드시 공간과 장소와 함수관계를 이룬다. 우리가 일상에서 경험하는 공간은 내가 그곳에서 살 수 있고, 거기에서 나 자신의 가능성을 투사하고 실현할 수 있는 삶과 역사의 터전이며 통로이다. 무엇보다 인간이 공간과 시간을 만나면 역사를 형성한다. 왜냐하면 인간은 시간과 공간의 무대 위에서 개체적·공동체적 삶의 텍스트와 서사(敍事, narrative)를 엮어가기 때문이다. (중략)
그간의 공간 연구와 해석학 연구를 집대성하여 이제 『공간의 철학, 그 해석학적 해명』(2023)을 내놓게 된 것이다. 이제까지의 공간과 해석학 관련된 연구 결과는 국제 하이데거학회와의 학술적 교류, 한국해석학회, 한국현상학회, 한국철학회, 한국기독교철학회, 한국문명학회, 경희대 미래문명연구원에서의 학술발표, 토론, 논문 게재 및 출판을 통해 이루어져온 것이다. 이 책은 공간의 철학에 대한 해석학적 해명으로서 ‘공간의 해석학’이란 명칭으로 서술될 것이다. 특히 여기서는 과학적 공간론을 배제하거나 부정하지 않고, 하나의 타당한 해석으로 받아들이고 수용한다. 동시에 그것의 한계를 드러내고, 그것의 의의를 재해석하고자 한다. 이는 과학을 마주하는 철학이 해야 할 과제이기도 하다. 그리고 지배적인 과학적 공간론에 의해 배제되거나 소외된 다른 공간 해석들과 그 의미를 밝히고, 나아가 전자와 후자의 대화를 시도하고자 한다. 이로써 존재론의 핵심주제인 공간에 대한 철학적 연구의 새로운 지평이 열리기를 기대한다.
우리의 모든 경험은 반드시 시간과 공간 안에서 이루어지기에 인간의 삶은 필연적으로 공간과 결합되어 있다. 공간은 시간과 더불어 개인 및 사회로 구성된 인간 생활을 규정하는 존재론적 기반이며, 동시에 세계를 알 수 있는 인식론적 준거가 된다. 특히 공간은 인간의 사고와 행동 그리고 삶에 영향을 미치고, 우리는 공간적 구속에서 벗어나 해방의 공간으로 향하는 자유를 갈망하기에 공간은 인간의 정체성과 자유의 문제와 직결된다. 저자 강학순 교수는 존재론에 관심을 가지고 존재의 근본 범주인 공간 연구와 그것에 접근할 수 있는 해석학적 연구에 천착해왔다. 그간의 공간 연구와 해석학적 연구를 집대성하여 『공간의 철학, 그 해석학적 해명』으로 펴냈다.
공간 문제는 자연과학과 사회과학, 그리고 인문학이 다루는 공통주제이므로, 학문 간의 융합적·횡단적 사유를 통해 갈등하고 대립하는 다양한 공간론들을 대화의 장으로 소환하여 그것들의 학문적 영역을 재배치하고 연결시킬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는 점을 저자는 지적한다. 따라서 공간에 대한 융합적인 연구를 위한 이론적 틀로서 ‘공간의 해석학’을 불러온 것이다. 이는 격자화된 과학적·철학적·인문사회과학적 공간 담론 안에 갇혀 있는 개별화된 이론들을 연결시킬 수 있는 융합적인 관점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전제에서 출발한다. 공간 존재와 공간의 진리에 대한 입체적이고 다각적인 융합적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는 것이다.
이 책은 공간철학의 연구 방향을 재정립하기 위한 입론으로서, 공간에 대한 철학의 접근 방식을 근본적으로 바꾸어 공간 연구를 위한 새로운 방법론과 그것의 원리 및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했다. 기존의 공간에 대한 이해와 설명을 해석학을 통해 재해석함으로써, 존재론의 핵심주제인 공간에 대한 철학적 연구의 새로운 지평을 열게 될 것을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