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일이 함께 풀어야 할 역사, 관동대학살

한일이 함께 풀어야 할 역사, 관동대학살

13,500 15,000
제조사
푸른역사
원산지
대한민국
배송정보
2,500원 (조건부배송) 지역별 추가배송 주문시결제(선결제)
택배 / 방문수령

책소개

차마 잊을 수 없고, 잊혀서도 안 되는
100년 전 그날, 은폐된 ‘사냥’의 기억

민족의 비극, 이대로 무심히 흘려 보내서야


올해는 관동대학살이 벌어진 지 꼭 100주년이 되는 해다. 1923년 9월 1일 일본 관동지방을 강타한 대지진 후 2주 남짓한 동안에 애꿎은 조선인 6,000여 명이 ‘사냥’ 당해 목숨을 잃었다. 한데 뜻밖에도 조용히 지나갔다. 외교 ‘정상화’ 흐름에 힘입어서였는지 한일 양국 정부는 침묵했고, 관련 언론보도나 특별한 추모행사도 그다지 눈에 띄지 않았다. 관동대학살을 다룬 신간도 불과 3종만 선보였을 따름이다. 그런 의미에서 재일한국인 저자가 쓴 이 책은 여러 모로 각별하다. 신문·소설 등 일본 자료를 바탕으로 일본의 양심을 일깨우기 위해 관동대학살의 실상과 역사적 배경, 심리적 상흔 등을 입체적으로 그려냈기 때문이다.

목차

들어가며

1부 관동대지진 학살, 그날 그 자리

1. 되살아나는 유언비어
도착하지 않은 ‘추도사’│혐오 발언 ‘불령조선인’의 함정│작가 에마 슈의 기억
2. ‘관’에서 ‘민’으로 하달된 유언비어
현실이 된 ‘새롭고 무서운 재앙’│대지진 다음 날│아직 이루어진 적 없는 실태 조사│‘관’에서 ‘민’으로 전달된 유언비어│자경단 대표의 고백
3. “너 조선인이지?”-작가 쓰보이 시게지의 체험
유언비어는 ‘사기’, 그럼에도 불구하고│쓰보이 시게지의 《십오 엔 오십 전》│도쿄를 탈출하는 사람들│“당신 조선인이지?”
4. 난바 다이스케가 본 조선인 노동자
조선인 노동자와 메이데이 대탄압│시나노강 조선인 노동자 학살 사건│계엄령이 가져온 것│“폭도 있음, 방방곡곡에서 방화와 약탈을 자행”
5. 유언비어를 확산한 신문
붙잡힌 조선인의 운명│군에 의한 살육│지방으로 확산된 유언비어│“주고 엔 고주 센”
6. 조선인 식별법 “십오 엔 오십 전”
조선인 식별법│발음으로 갈린 삶과 죽음│‘무단통치’에서 ‘문화통치’로│‘선도주의’의 역수입│‘선도주의’의 좌절
7. 허위로 부풀려진 증오와 공포
허위로 과장된 ‘불령조선인’ 이미지│오해를 산 일본인│자경단이 사용한 식별법│3·1운동의 심리적 외상
8. 학살을 담당한 자경단의 원류
3·1운동과 자경단│‘제국재향군인회’의 발족│주객이 전도된 유언비어│가해자의 피해자 행세
9. 일본 문단의 작가들이 본 조선인 학살
진재문학│다야마 가타이의 무용담│시마자키 도손의 애매한 대답│아쿠타가와 류노스케 등 작가의 한계
10. 소설가 나카니시 이노스케의 도발
환영으로서의 ‘불령선인’│나카니시 이노스케의 소설 〈불령선인〉│모두 일본이 짊어져야 할 죄

2부 관동대학살의 상흔

11. ‘불령선인’은 어떻게 만들어졌나-저항운동과 간도 파병
데라우치 총독 암살 미수 사건│‘불령선인’의 탄생│“불령선인은 테러리스트”│간도 파병에 의한 ‘학살’│학살은 테러리즘과의 전쟁
12. 박해를 두려워한 재일조선인들의 귀환
문학에서 지워진 조선인 학살│식민지의 동요│피해자의 ‘정신적 살해’
13. 학살 소식에 동요한 재조선일본인과 총독부
조선에 퍼진 유언비어│도쿄로 간 조선의 현지 조사단│조선의 통곡을 그린 나카지마 아쓰시의 〈순경이 있는 풍경〉│나카지마 아쓰시의 ‘조선’ 체험
14. 사라지지 않는 트라우마, 반복되는 학살의 악몽
일본을 떠나도│공습과 원폭 투하 때에도│“기뻐하는 얼굴을 해서는 안 된다”
15. 도쿄 대공습 때 반복된 유언비어와 폭력
반복되는 폭력…‘오모토 사건’과 가해자의 외상│도쿄 대공습과 유언비어│패전 쇼크
16. 패전 쇼크로 재현된 유언과 잔혹 행위
패전의 충격│‘요리이寄居 사건’-전후에 재현된 잔혹 행위│“조선인 한둘은 죽여도 돼”
17. 재일동포의 번민을 그린 작가, 이양지
대지진이 일어나면 조선인은 또 학살될까│이양지의 〈제적등본〉│5년마다 전쟁을 치른 ‘제국’ 일본
18. 학살은 왜 일어났는가 1-“가해자의 죄책감” 결여
‘전쟁신경증’과 PTSD│“가해에 따른 죄책감” 결여│‘탈감작脫感作’과 ‘집단면책’│‘열등한 인종’을 응징하다
19. 학살은 왜 일어났는가 2-정상 참작된 자경단의 잔혹 행위
잔혹 행위의 ‘합리화와 수용’ 과정│하늘 아래 떳떳한 살인│“학살”이란 말은 금기어
20. 학살은 왜 일어났는가 3-가해자의 증언, 지금도 유포되는 유언비어
학살 작전 가담 군인의 증언│‘불령일본인’ 탓이라고 간파한 사령관│심판받지 않는 살인│유언비어를 퍼트리는 이들은 지금도 끊이지 않는다│거짓 없이 진실을 마주 보는 태도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

유영승 (지은이), 무라야마 도시오 (옮긴이), 시민모임 독립 (기획)

출판사리뷰

시가전을 방불케 한 가해와 학살의 뿌리

조선인인 지진 후의 혼란을 틈타 살인과 방화, 강간을 저지르고 있다는 유언비어를 퍼뜨리고 묵인한 것은 일본 정부와 언론이며 이에 자경단이 조선인들을 마구잡이로 살해했다는 것이 관동대학살에 관한 정설이다. 그러나 지은이에 따르면 군대 역시 이에 가담했다. 9월 2일 출동한 한 기병연대는 이틀분 식량과 여분의 말발굽, 실탄 60발을 휴대한 “마치 전쟁을 방불케 하는” 상황이었으며 오후 2시경 가메이도에 도착해서는 즉시 “열차 검문”을 실시하고 조선인 한 사람을 끌어내려 총검으로 마구 찔러 죽였다(151쪽). 도쿄 오쿠라 다리 위에서는 조선인 5~6명이 몽둥이에 맞아 머리와 손발이 몽땅 으스러진 채 죽어갔다(47쪽).

지은이는 이런 참상을 전하면서 ‘주범’인 자경단의 뿌리가 3?1운동 당시 조선 각지에서 구성됐던 자경단과 재향군인회와 연결시킨다. 또 관동대지지 발생 당시 내무대신, 경시청 총감, 도쿄도 부지사가 조선총독부 출신으로 3?1운동으로 인한 심리적 외상이 작용했으리란 의견을 제시하기도 한다.

군?관?민 모두 헤어나지 못한 ‘불령선인’ 그림자

‘불령선인’은 “무법자이며 불순한 조선인”을 가리킨다. 하지만 당시 사법부 자료에 따르면 관동대지진 시기에 조선인 범죄 용의자는 대략 140명으로 관동 지역 일대를 습격하기에는 터무니없이 부족한 데다 그나마 대부분 어디에 사는 누구인지도 알 수 없는 상태인데도 “조선인임이 틀림없다”고 단정했다(30쪽). 그러면서 내무부 경보국장은 “조선인의 행동에 대해 엄격한 단속”을 요청하는 전문을 각 부?현 지사 앞으로 보냈고, 신문은 “학살은 불령조선인의 폭동에 대한 자위적 행동이었다는 기사를 계속 내보냈다. 관민 모두 불령조선인이란 유령에 더욱이 일본 정부가 1923년 9월 11일 “정상 참작”할 점이 적지 않아, “소란에 가담한 전원을 검거하는 일 없이” 검거의 범위를 “현저한 것으로 한정”해 검거하겠다는 방침을 발표해서(148쪽) 학살을 부추겼다. 민족적 차별과 멸시의 관념을 바탕으로 “조선인 한두 명은 죽여도 좋다”는 집단의식이 형성된 계기였다.

제대로 증언하지 못한 진재震災문학

근대국가 일본이 최초로 경험한 대지진은 ‘진재문학’이라는 새로운 문학 양식을 만들었다. 대부분은 일기, 수기, 르포르타주(기록문학) 형식을 취하고 있는데, 처절한 피해 체험을 기록하거나 참혹했던 재난의 현장에서 다시 일어서는 사람들의 분투를 그렸다. 이를테면 100세까지 왕성한 창작활동을 한 노가미 야에코가 “조선인을 죽인 피로 오미쿠라 다리 밑의 물이 빨갛게 변해 발도 못 씻었다”고 적은 일기가 그렇다. 그러나 지진 재해 상황에서 벌어진 잔혹한 폭력 행위를 기록하고 고발하는 작품은 손에 꼽을 정도이다. 더욱이 그러한 작품의 저자는 대부분 프롤레타리아 문학의 기수들이었기에 검열의 대상이 됐고, 작품들은 복자伏字투성이가 되거나 출판 자체가 엄격히 통제되던 상황이어서 그 파급력은 한계가 있었다. 당시 일본 문단의 저명한 작가들은 죄악에 눈을 감듯, 이 잔혹한 비극을 작품의 주제로 삼으려 하지 않기도 했다. 국가와 사회가 손잡고 학살의 기억을 봉인했던 것이다. 결국 진재문학은 2년 남짓 후 시들해졌다.

거짓 없는 진실을 마주 보아야 하는 이유

일본은 관동대학살을 두고 침묵하거나, 심하면 가해자가 아닌 피해자 코스프레를 한다. ‘조선인 사냥’을 정당방위라거나 열등 민족 혹은 ‘명령’을 따랐다는 이유로 ‘집단면책’을 만들어냈다. 그렇게 은폐된 기억은 새로운 유언비어를 낳고, 비극이 반복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이 책은 지난해 일본 온라인 사이트에, 일본 네티즌을 대상으로 관동대학살을 다룬 글을 묶어내는 이유다. 지은이가 말미에 강조했듯이, 그 부정적인 기억을 다시 불러와 진실을 마주 보는 태도가 모두에게 필요하기 때문에 더욱 놓치기 아까운 책이다.

상품필수 정보

도서명
한일이 함께 풀어야 할 역사, 관동대학살
저자/출판사
유영승 (지은이), 무라야마 도시오 (옮긴이), 시민모임 독립 (기획),푸른역사
크기/전자책용량
140*207*20mm
쪽수
168쪽
제품 구성
상품상세참조
출간일
2023-11-22
목차 또는 책소개
상품상세참조

비밀번호 인증

비밀번호를 입력해 주세요.

확인

상품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
바로 확인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