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인간의 성은 도대체 몇 개인가?
“성은 두 개도, 세 개도 아니라, 셀 수 없을 정도”
이성애, 동성애, 인터섹스, 트랜스젠더…… 이런저런 성에 속해 있는지 여부는 중요치 않다. 남성과 여성, 두 개의 성만 존재한다는 정상성의 오만함과 단절해야 한다는 것, 개인의 신체 구조를 교정할 게 아니라 사람들의 사고방식과 사회를 바꿔야 한다는 것, 그것이 바로 “새로운 정상”.
‘두 개의 성’만 존재한다는 이분법을 해체하자
성은 몇 개인가? 사람들은 “두 개!”라고 답한다. 과학에서도 “두 개!”라고 답한다. 두 의견은 다행스럽게도 일치해서 우리는 사람들의 의견이 옳다고 판단하게 된다. 그런데 정말 그런가? 사람들이 두 개의 성이 있다고 말할 때는 각각의 종마다 오직 두 유형의 개체만 존재한다고 주장하는 것이다. 태양과 달이 존재하듯이 남성적인 것과 여성적인 것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성별에 따라 역할도 규정된다. 여성인 어머니의 역할은 돌봄이고, 남성인 아버지의 역할은 통솔자인 가장이라고 말한다. 이런 틀에서 여성과 남성의 특징을 설명하고, 동물의 특성을 강조할 때도 이런 성별 고정관념이 투영된다.
그런데 과학에서 두 개의 성이 존재한다고 제시할 때 과학은 무엇을 추구하는가? 생물학자에게 ‘수컷’과 ‘암컷’이라는 용어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이렇게 성의 수를 헤아릴 때 우리는 바로 ‘정상적인 것’과 ‘비정상적인 것’을 구별해야 하는 위험에 빠지게 된다. 즉 여성과 남성의 두 가지 특성 계열에서 벗어나는 인간 개체는 ‘비정상’으로 분류되고 치료해야 할 대상이 된다. 이 논리로는 동성애도, 인터섹스도, 트랜스젠더도 모두 ‘비정상’이 된다. 두 개의 성에 포함되지 않는 성은 모두 비정상성을 부여받은 채 사회에서 제외되거나 비상식적인 삶을 살도록 강제된다. 동성애자는 ‘생명’을 잉태할 수 없으므로 동성결혼을 허용해서는 안 되고, 트랜스젠더는 그들의 해부학적 성과 정신적 성 사이의 불일치를 스스로 조화시키도록 강요받고, 남성이라고도 할 수 없고, 여성이라고도 할 수 없는 인터섹스는 외과수술을 통해 교정되어야 할 대상으로 전락한다.
저자는 ‘두 개의 성’에 갇혀 있는 사회를 청산해야 한다고 말한다. 성은 두 개도, 세 개도 아니며, “셀 수 없을 정도”라고 말한다. 즉 개인은 각자 재능이 있는 소중한 개인으로서 인정받아야 하지 그들이 이성애자인지, 동성애자인지, 트랜스젠더인지, 인터섹스인지가 중요한 것이 아니다. 인간은 생물학적으로 명확히 두 개의 성, 남성과 여성만으로 구분될 수 없으며, 이성애자, 동성애자, 인터섹스 등 다양한 성으로 세분화될 수 있다. 인간 사회는 정의나 평등 같은 사회정치적 이상의 구현을 목적으로 건설되어야 하지, 성이 무엇이냐에 따라 인간 개인의 삶이 결정되어서는 안 된다. 즉 ‘성은 두 개다’라고 주장하는 생물학이, 혹은 종교적 논의가 사회의 구축에 이용되어서는 안 된다는 게 저자의 주장이다.
이 책은 인식론, 과학사, 페미니즘에서 빌려온 이론적 도구를 교차하면서 “두 개의 성”만 존재한다는 이분법적 시각을 해체한다. 한국 사회에도 시사하는 바가 많다. ‘생물학적인 여성’이 아니라는 이유로 트랜스젠더 여성을 여대에 입학하는 것을 막는 사례나, 동성애를 ‘찬성’ 또는 ‘반대’라는 잘못된 질문으로 묻는 사례나, 과잉대표된 종교인들에 의해 제기되는 ‘동성애는 죄’라는 주장에 정치인들이 호응하는 사례는 모두 ‘두 개의 성’이라는 이분법에 함몰된 시각이다. 이 책은 한국 사회의 성 개념을 지배하는 주류 담론의 시각을 전복할 수 있는 논리를 제공해줄 것이다.
목차
들어가는 말: 성은 몇 개나 될까?
지나간 시간의 케케묵은 냄새 | 몇 개의 성이 존재하는가?
I. 자연주의를 제자리에 놓기
1. 대안자연주의로 자연사를 재검토하기: 대안자연주의 입문
서구중심주의와 남성중심주의 | 생물학은 우리를 잘못된 길로 이끌어간다
2. 성에서 젠더로, 젠더에서 성으로?
젠더의 우위? | 성의 귀환? | 시원적 성, 성 개념에 대한 진지한 고찰
3. 여성이 곧 암컷은 아니다
여성이란 누구인가? | 가부장적인 생물학에 대처하는 방법 | 왜 모든 종을 암컷과 수컷으로만 구분할까?
Ⅱ. 성의 미로
4. 성에 대해 말한다는 것은 무엇에 대해 말하는 것인가?
성기에 대한 극도의 집착 | 성을 형성하는 열 개의 층위 | 일곱 가지 생물학적 성 개념 | 그렇다면 몇 개의 성이 존재하는가?
5. 무엇이 성을 결정하는가?
유전적 결정 또는 환경적 결정? | 유전자가 성을 결정한다?
6. 동물의 젠더에 대하여
일반성에서 개별성으로: 퀴어 동물 이야기 | 어디에나 있는 성의 무지개 | 인류에 대해 어떻게 생각할 것인가?
Ⅲ. 인터섹스 혁명: 이분법을 흔들어놓는 것
7. 모든 아이는 동일한 가치와 존엄을 갖는다
성에 대한 부모들의 집착 | 그렇기는 하지만, 인터섹스의 문제 | 이론들에 점령당한 인터섹스 | 이분화에 반대하는 인터섹스
8. 두 개의 성만 있는 건 아니다: 인터섹스의 다양성
‘정상적인 것’은 통계적으로 정의된다? | 염색체와 인터섹슈얼리티 | 호르몬과 인터섹슈얼리티 | 매우 다양하고, 다소 회귀한
9. 새로운 정상
다리 없는 인류 | 인터섹슈얼리티는 새로운 규범인가? | 정상적인 것: 통계적인 것에서 의학적인 것으로 | 정상적인 것: 생물학적인 것에서 정치적인 것으로 | 일탈, 불구, 기형 | 결합쌍둥이의 반증 | 정상적인 것에는 역사가 있다
Ⅳ. 노아의 방주에서 벗어나기
10. 생물학의 성 개념을 어떻게 재구성할 것인가?
11. 이분법이여, 안녕
“아빠 암탉”? | 이분법에서 빠져나오기 | 우리가 질문을 제대로 제기했다면 | 사회를 해방하기
감사의 말
해제: 성이란 무엇인가?-과학의 이름으로
주
저자
티에리 오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