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영화, 문학, 미술이라는 예술의 영역을 철학의 시각에서 해석하는 책
데카르트, 칸트, 헤겔, 니체, 하이데거, 비트겐슈타인, 프로이트, 사르트르, 카뮈, 아도르노, 데리다 등 근-현대의 대표적 철학자들의 시선으로 예술 읽기!
예술 작품은 어떻게 감상해야 할까? 쉽게 지나쳐버리는 우리 주변의 다양한 예술 작품들의 감상과 분석에 철학적 사고를 접목하면, 작품 이해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다. 이와 함께 철학적 사고에 익숙해지면, 우리의 삶과 예술에 대한 사유의 능력을 확장시킬 수 있다. 독일 본 대학교에서 독일 문학과 철학, 언어학을 공부하고, 인문학 박사학위를 취득한 저자 장병희는 이 책 [예술, 철학을 만나다 : 문학과 영화로 철학하기]에서 기존의 예술서나 철학서들의 가벼움에 철학적 깊이를 더했다. 영화 [빌리 엘리어트]와 [인사이드 르윈]에서 니체의 아폴로성과 디오니소스성을 발견하고, 괴테와 아이헨도르프의 시의 비교 분석을 통해서 고전주의와 낭만주의의 미학을 살펴본다. 영화 [반칙왕]과 카뮈의 [시지포스의 신화]에 나타나는 실존의 형태를 분석하고, 카프카의 [포세이돈]에 나타나는 수사학적 어법을 통해서 패러디와 해체주의의 미학을 제시한다. 하이데거의 [존재와 시간]에서 현존재와 시간성을 짚어본 후, 영화 [다크 나이트]를 존재론적 시각으로 바라본다. 이 책은 예술을 좋아하며 인문학적인 사유에 관심이 있는 일반인들에게 근-현대 철학의 진수를 체험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목차
서문
1 니체의 아폴로성과 디오니소스성
영화 「빌리 엘리어트」에 나타나는 삶과 세상
2 디오니소스의 언어―음악
영화 「인사이드 르윈」에 나타나는 음악의 의미
3 고전주의와 낭만주의의 미학
괴테와 아이헨도르프 시의 비교 분석 및 서양 예술사의 흐름
4 현대시의 미학
현대시에 나타나는 구조적, 미학적 변화
5 『시지포스의 신화』에 나타나는 실존주의
영화 「반칙왕」에 나타나는 실존의 형태
6 현대 드라마와 부정 변증법
개방극으로서의 희곡 『보이첵』과 부정 변증법
7 열린 형식의 영화와 희망의 미학
영화 「내 생애 가장 아름다운 일주일」에 나타나는 개방극적 요소와 희망의 메시지
8 패러디와 해체주의의 미학
카프카의 신화 「포세이돈」에 나타나는 수사학적 어법
9 현대의 주체와 자아
프로이트, 아도르노, 데리다의 관점에서 본 주체와 자아인식
10 파리와 예술
영화 「미드나잇 인 파리」에 나타나는 파리의 예술과 예술가
11 해체주의와 진리인식
카프카의 단편 「프로메테우스」에 나타나는 진리인식의 문제
12 인식론
영화 「오! 수정」에 대한 인식론적 사유
13 브레히트의 서사극 이론과 소외효과
영화 「간첩 리철진」에 나타나는 서사극적 요소
14 비동일성의 사고와 차연
영화 「간첩 리철진」에 나타나는 비동일성과 차연
15 비트겐슈타인의 언어분석 이론
언어와 세계, 언어와 철학
16 하이데거의 『존재와 시간』
현존재와 시간성
17 현존재와 실존
영화 「다크 나이트」의 존재론적 이해
18 삶과 철학
수필 「토요일 오후」에 나타나는 철학적 사유
지은이의 말
참고 문헌
인명, 서명, 작품명 색인
저자
장병희
출판사리뷰
제1장에서는 삶과 인간, 세상에 대한 관계를 묘사하는 니체 미학의 핵심 개념인 아폴로성과 디오니소스성에 관하여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영화 [빌리 엘리어트(Billy Elliot)]에 나타나는 삶과 현실에 대해 관찰해본다. 제2장에서는 디오니소스의 언어이며 예술인 음악의 본질에 대해 알아보고, 영화 [인사이드 르윈(Inside Llewyn Davis)]에서 음악이 지니는 기능과 역할에 대해서도 살펴본다. 제3장에서는 고전주의와 낭만주의를 대표하는 작가들의 시 괴테의 “나그네의 밤 노래”와 아이헨도르프의 “동경”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서양 예술사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두 가지 사조의 특성과 차이점을 알아보고, 고전주의와 낭만주의가 이후의 예술 사조에서는 어떤 형태로 변형되어 유지되는지에 대해서도 관찰해본다. 제4장에서는 전후(세계대전 이후) 시대를 대변하는 독일의 뛰어난 시인인 고트프리트 벤의 시 “오직 두 가지뿐”과 독특한 현대시 몇 편을 살펴봄으로써 이전 시기와 달라진 구조적, 미학적 변화에 주목해본다.
제5장에서는 실존주의적 사고를 구체적으로 묘사하고 있는 카뮈의 작품 [시지포스의 신화(Le Mythe de Sisyphe)]에 대해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영화 [반칙왕]에 나타나는 평범한 개인의 실존에 관해 논의해본다. 나아가 실존주의를 대변하는 철학자 사르트르의 사고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실존주의에 대한 구체적 정의를 내려본다. 제6장에서는 현대 드라마(희곡)의 주류인 개방극의 특징과 드라마 [보이첵]에 대해 살펴보고, 현대 사회를 규명하는 아도르노의 철학적 원리인 부정 변증법과 개방극 사이에는 어떤 공통점이 존재하는지에 대해서도 알아본다. 제7장에서는 [내 생애 가장 아름다운 일주일]이라는 영화를 다루고, 이 영화의 개방극적 특성이 우리에게 주는 메시지에 대해서도 생각해본다. 제8장에서는 신화에 대한 패러디인 카프카의 [포세이돈]을 분석하면서 현대 문학에 나타나는 현대인의 실존과 삶의 부조리에 대해 알아보고, 존재와 진리인식에 대한 해체주의적 사유와 패러디에 사용되는 수사학적 어법의 상관관계에 대해서도 살펴본다. 제9장에서는 현대 예술 작품의 근본적 테마인 주체와 자아인식에 대해 독창적인 연구와 논리적인 견해로 주체성과 자아 회복의 길을 제시하는 대표적인 사상가 세 사람, 프로이트, 아도르노, 데리다의 사고를 다룬다.
제10장에서는 예술의 가치와 본질에 접근하기 위하여, 영화 [미드나잇 인 파리(Midnight in Paris)]에 등장하는 예술가들의 삶과 사고에 관해 알아본다. 1920년대라는 예술의 전성시대가 선사하는 낭만과 향수도 함께 느낄 수 있다. 제11장에서는 해체주의와 카프카의 단편 [프로메테우스(Prometheus)]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진리를 설명하는 해체주의적 개념인 ‘산종(散種)’과 ‘차연(差延)’이 카프카의 작품에서 어떻게 구체적으로 형상화되고 있는가에 대해 탐구한다. 제12장에서는 현대적 의미의 학문이 태동한 시기인 17세기에서 출발하여 현대에 이르기까지 주목할 만한 몇몇 인식론적 사고를 살펴본다. 나아가 이러한 인식론적 사유들을 영화 [오! 수정]에 적용시킴으로써, 보다 구체적으로 인식론의 본질에 접근해본다. 제13장에서는 비아리스토텔레스적 드라마를 대변하는 브레히트의 서사극과 소외효과에 관해 알아보고, 나아가 영화 [간첩 리철진]에 나타나는 서사극적 요소에 대해서도 논의한다. 제14장에서는 현대 철학을 이해할 수 있는 단초인 아도르노의 비동일성 이론과 데리다의 차연 개념을 다루고, 영화 [간첩 리철진]에 나타나는 비동일성과 차연의 구체적인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아도르노와 데리다적 사고의 본질에 접근해본다. 제15장에서는 비트겐슈타인이 어떤 과정과 방법으로 동일성의 사고가 지향하는 보편성과 일반성의 허구를 밝히는지 알아본다. 제16장에서는 하이데거의 [존재와 시간]에 나타나는 인간 존재의 규명 및 시간과 존재의 관계에 대해 탐구한다. 제17장에서는 하이데거가 [존재와 시간]에서 말하는 현존재, 존재 의의, 실존, 불안, 양심, 본래적인 삶 등의 개념이 현실의 모습으로 구체화되어 재현된 영화 [다크 나이트(The Dark Knight)]에 대해서 존재론적 분석과 이해를 시도한다.